오늘은 프로젝트 생성 전 큰 틀을 잡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날이었습니다.
StoryBoard 를 통해 해당 페이지의 CSS 와 구현 기능 그리고 ERD 1차 설계 및 WBS 까지 진행하였습니다.
오늘 내용을 정리하기 전에 간단하게 WBS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WBS (Work Breakdown Structure) 란, 프로젝트 작업을 할 때 해야 할 업무를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는 좀 더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누어서, 일정 및 진행사항을 체크하는 기법입니다. 쉽게 말해, 개발 과정에서 누가 어떤 기능 구현을 담당하게 되었는지, 그 기능이 어디까지 구현 되었는지, 구현된 기능이 서로 merge 되었을때 또는 배포 되었을 때 오류가 없는지 등 구현, 개발, 배포의 모든 단계를 큰 틀로 작성한 후에 세부적인 내용으로 파고들어 모든 팀원들의 진행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진행시키는 방식입니다. 오늘 우리조가 계획한 큰 틀의 WBS 는 다음과 같습니다. 더 세부적인 내용은 완성된 ERD와 API 명세서를 만들게 된 다음에 작성 될 것 같습니다. (아마도)
다음은 1차로 설계된 ERD 입니다.
1차적으로 설계된 ERD 이며, 앞으로 있을 API 명세서 작성 중에서 변경될 사항이 아주우 많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.. !
간략하게 설명하며 기록으로 남겨두겠습니다. (소셜 로그인의 경우 table 을 만들어 두었지만 spring security, jwt 등 혼자 공부하여 구현할 기능이 많아 일단은 보류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.)
- 회원가입시 role 에 default 값으로 guest 가 들어온다.
- role 의 권한은 admin -> teacher, student, guest 까지 관리 가능, teacher -> student, guest 까지 관리 가능하다.
- 로그인 하지 않았을 경우 or 로그인 하였으나 role 이 guest 일 경우 열람만 가능하다.
- admin 또는 teacher 의 승인으로 role 이 student 로 변경 되었을 경우 (후기, 포트폴리오) 작성의 권한이 추가된다.
- student 일 경우 마이페이지가 생성되며 다음과 같은 항목이 추가된다. (출석현황, 포트폴리오 찜, 내가 올린 글, 정보수정)
- 마이페이지 -> 출석 현황에서 입실, 퇴실, 휴가신청 버튼이 존재하며, 휴가신청 버튼을 클릭할 경우 휴가신청 table로 저장이 된다.
- 휴가신청 table 에 저장된 데이터는 admin, teacher 만 조회가 가능하며 confirm 의 컬럼을 추가하여 승낙 조건을 추가하였다.
- 출석체크 테이블에 결석, 휴가, 병가, 지각 은 조건식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 될 것이다.
다음과 같은 기능 등등을 구상하였고, 구상한 기능들이 모두 구현되었을 경우 ! Oauth2 를 통한 소셜로그인 및 질문게시판 기능추가 그리고 socket 통신을 활용한 1대1 채팅 기능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'Project > DevCamp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emi-Project]Jenkins 를 통한 배포 (5) (0) | 2024.06.21 |
---|---|
[Semi-Project]thymeleaf & layout (4) (2) | 2024.06.21 |
[Semi-Project] API 명세서 작성 및 ERD 수정 (3) (0) | 2024.06.13 |
[Semi-Project] Git전략 & WBS 수정(2) (0) | 2024.06.12 |
[Semi-Project] 부트캠프 후기 및 출석체크 기능 개발 (0) (0) | 2024.06.10 |